http://newslink.media.daum.net/news/20100812124003816
지하철이나 커피숍이나 영화관, 버스 터미널 공항에서도 노트북만 있으면 누구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세상.
이렇게 장소에 상관없이 인터넷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건 바로 와이브로와 무선랜 때문입니다.
직장인, 김정환 씨, 매일 1시간 넘게 지하철로 출퇴근하면서 인터넷을 합니다.
[김정환/직장인(26세) : 퇴근 길에 업무 남은 것 처리하기도 하고요 인터넷으로 뉴스 많이 봐요.]
예전엔 지하철을 탈 때면 책을 보거나 잠을 잤다는 김 씨.
지하철에서 무선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서 김 씨는 출퇴근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됐습니다.
[김정환/직장인 : 시간이 절약되고요. (지하철 타는) 여유 시간에 작업을 하거나 카페에 접속하거나 하니까 좋은 거 같아요.]
지하철이나 커피숍에서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랜은 무선 접속장치를 통해 선없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뜻합니다.
무선랜 사용이 가능한 와이파이존에서 무선 접속장치, 즉 AP만 있으면 무선 랜카드가 장착된 PDA나 노트북을 이용해 누구나 초고속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엔 이렇게 무선랜을 이용해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와이파이 존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백종현/한국인터넷진흥원 무선인터넷 팀장 : 이통사 등 와이파이존은 현재 3만 2천 곳 정도. 연말까지 6만여 곳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와이파이 기술의 발달로 전파가 닿는 곳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전파가 닿는 곳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이용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인터넷 기업 구글이 '스트리트 뷰'라는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 거리를 찍으면서 보안이 취약한 무선랜을 통해 뜻하지 않게 일반인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게 된 것입니다.
구글은 창업자까지 나서서 사태 진화에 나섰지만 수집된 정보 폐기문제를 둘러싸고 또 다시 논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선랜 사용시 보안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까? 재연을 통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무선랜을 사용하면서 보안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 우선 불특정 다수가 내 무선 공유기를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같은 AP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공유폴더 내용은 그대로 노출되고 보안이 취약한 컴퓨터의 경우, 다른 개인 정보도 고스란히 유출될 수 있습니다.
[노기성/한국인터넷진흥원 주임연구원 : 유선 인터넷과 달리 무선 인터넷은 암호 설정을 하지 않으면 누구나 쉽게 접속해서 같은 공유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패스워드 등 데이터 같은 개인의 정보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서울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 차를 세워놓고 타인의 무선랜에 얼마나 쉽게 접속할 수 있는지 확인해 봤습니다.
알지도 못하는 타인의 AP가 무수히 많이 잡히는 것은 물론 사용도 가능한 상황입니다.
만약 해커가 접속한다면 해킹으로 개인정보 유출, 악성코드 삽입 등 갖가지 보안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무선랜 이용자들의 보안의식은 어느 정도일까요?
이용자 대부분은 이렇게 무선랜의 편리함에 푹 빠져 있으면서도 정작 중요한 보안에는 별 관심이 없습니다.
네티즌들 사이에 입소문을 타고 유명세를 치르고 있는 대학가의 한 북카페.
분위기도 좋고 커피 맛도 일품인데다 무선 랜을 이용할 수 있어 더더욱 인기가 있습니다.
카페 손님들도 대부분은 무선랜을 이용해 컴퓨터 작업을 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보안엔 별 신경을 쓰고 있지 않습니다.
[김해주/카페손님 : 다같이 쓰는 건데 제 개인정보가 나간다는게 믿어지지 않아요.]
[김소영/대학생 : 그런거 (보안) 신경 안써요.]
보안에 신경쓴다는 사람은 극히 드물었습니다.
[지향우/대학생 : 평소 무선인터넷 사용은 하는데 신경 쓰이는 작업, 인터넷 뱅킹 같은 건 집에서 하고요. 카페에선 인터넷(서핑) 사용정도 해요.]
유선에 비해 무선랜 사용시 보안에 더 신경을 써야하는데 이용자들의 보안의식은 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일까요?
[송명석/무선인터넷 보안전문 강사 : 유선에 비해 무선은 보안이 취약한데요. 유저들은 솔루션 선택을 하지 않습니다. 무선은 최근 해킹사고 등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이제 막 관심을 갖는 단계인 거죠. 아직 초기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취약한 보안의식이 결국 개인의 피해로 돌아온다는 것입니다.
무선랜을 이용하고 있는 한 가정 집에 갑자기 경찰이 갑자기 들이 닥쳤습니다.
경찰의 갑작스런 압수수색 이유는 범죄에 이용된 IP주소가 이 집의 컴퓨터였기 때문입니다.
보안설정을 하지 않은 상태로 무선랜을 사용하다보니 누군가 무선랜에 접속해, IP를 도용한 뒤 범죄를 저질렀던 것입니다.
하지만 아주 작은 노력만 기울인다면 이런 위험은 얼마든지 피해갈 수 있습니다.
먼저 가정에선, 무선랜 설치 후 반드시 비밀번호를 교체해야 하고 무선랜을 이용하지 않을땐 공유기의 전원을 반드시 꺼야 합니다.
또 무선 AP 패스워드를 8자 이상 영문과 숫자를 혼합하여 만들어주고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공공장소에서 무선랜을 사용할 땐 웹서핑 정도만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 뱅킹이나 주민번호 입력이 필요한 민감한 서비스는 이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노트북이나 스마트 폰 등 무선 인터페이스는 사용시에만 켜 두어야 합니다.
이와 함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무선랜의 보안 설정입니다.
유저들이 쉽게 할 수 있는 무선랜 보안방법입니다.
우선 무선 공유기의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한 뒤 무선설정 보안을 선택하고 인증 방법에 암호화 기법을 사용해 비밀 번호를 설정해 두는 것입다.
[노기성/한국인터넷진흥원 주임연구원 : 이런 방법으로 보안을 설정해 두면 마이홈페이지에 자물쇠가 걸려서 암호를 입력해야 쓸 수 있습니다.]
무선랜 이용의 증가만큼 중요한 무선랜 보안, 정부에선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까?
[백종현/KISA 무선인터넷팀장: (개인)이용자측면에선 반상회보, 팜플렛 버스 지하철 등을 통해 홍보를 하고 있구요 사업자 측면에선 설치때부터 초기에 보안설정을 하도록 하고 있구요 또한 패스워드 변경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인터넷과 TV 그리고 전화까지 인터넷으로 한번에 연결되는 시대!
특히 빠르고 편리한 와이파이 이용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웹서핑에서부터 금융거래, 회사 업무처리까지 와이파이의 이용범위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 무선랜의 편리함에 빠져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선랜의 편리함에 푹 빠진 우리의 보안 점수는 몇 점일까요?
지금 확인해 보십시오.
'*가져온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밧데리의 비밀 (0) | 2010.09.04 |
---|---|
[스크랩] 아들에게 남기고 싶은 말 (0) | 2010.08.19 |
[스크랩] 1%의 행복 (0) | 2010.06.26 |
56점 (0) | 2010.05.01 |
[스크랩] 약 31 조를 기부한 워런 버핏의 삶 (0) | 2010.02.03 |